요즘은 페이 결제가 보편화되면서 실물 주민등록증을 안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 신분 확인이 필요한 곳에서 곤란한 상황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24년 12월 27일부터 주민등록증을 발급한 17세 이상 국민은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9개 지자체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며 추후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및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실물 주민등록증이 없어도 스마트폰을 통해서 간단한 본인 인증을 통해 관공서, 은행, 병원, 공항, 편의점 등에서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약 2달간 세종, 강원 홍천, 경기 고양, 경남 거창, 대선 서구, 대구 군위, 울산 울주, 전남 여수, 전남 영암 등 9개 지자체에서만 시범 운영되지만 25년 2월부터 전국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및 정부 24 온라인 신청도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1. 발급 방법 (무료, QR)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서와 신분증을 통해 본인 확인 후 비치된 일회용 QR코드를 촬영하여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합니다. 비용은 무료이며 휴대전화를 교체하거나 모바일 신분증 앱을 삭제한 경우에는 다시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재발급해야 합니다.
2. 발급 방법(유료, IC칩)
실물 주민등록증에 IC칩이 심어진 'IC 주민등록증'을 새로 발급받아서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는 방법입니다. IC 주민등록증 발급 비용은 1만원이며 최근 6개월 이내 촬영된 사진을 제출해야 합니다. 장점은 휴대전화를 교체해도 스마트폰에 IC 주민등록증만 다시 인식해 주면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IC 주민등록증 분실 시 재발급 비용은 5천원입니다.
※ 08년 출생자부터는 IC 주민등록증 무료 발급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 방법
실물 주민등록증을 사용하는 관공서, 금융기관, 병원, 술집 등 모든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똑같은 효력을 가집니다.
1. 사용 방법
본인 휴대전화에 설치된 '모바일 신분증 앱'이나 은행 등에 있는 QR코드를 보여주면 됩니다.

2. 기존의 실물 주민등록증과 달리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주소, 이름 등 원하는 개인정보 부분을 숨기고 필요한 정보만 공개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1. 본인 명의의 단말기 1대에서만 발급이 가능합니다.
2.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아도 실물 주민등록증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3. 휴대전화 분실 시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콜센터 신고를 통해 효력을 즉시 정지할 수 있습니다.
4. 개인정보보호를 위해서 3년마다 재발급해야 합니다.
종이 주민등록증이 56년 만에 디지털로 변화되며 생활이 더 편리해졌지만 개인 정보 유출이나 해킹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되기를 바랍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어른 명절 선물세트 3만원대 마켓컬리 TOP5 추천 (0) | 2024.08.20 |
---|---|
러브버그 퇴치법, 물 뿌리기 어두운 옷을 입어요! (0) | 2024.07.12 |
4대보험 의미와 요율, 4대보험 계산기 확인하기 (0) | 2024.07.11 |
'요일제 공휴일' 3일의 황금연휴 제도 확인하기 (0) | 2024.07.09 |
박물관·공원 등 공공시설 무료 결혼식(예식) 공간 확인 및 신청 방법 (0) | 2024.06.30 |